📌 목차 요약
1. 주휴수당이 뭔가요?
2. 주휴수당계산법
3. 안 주면 어떻게 하나요?
4. 포함됐다고 하면요?
5. 결론
“일한 시간 다 계산했는데 월급이 왜 이래?”
처음 알바 시작했을 때 전 몰랐어요.
시급만 계산하면 월급이 맞겠지 싶었거든요.
그런데 어느 날 친구가 그러더라고요.
“너 주휴수당 받아? 그거 안 받으면 엄청 손해인데.”
그 말 듣고 급여명세서를 다시 봤는데…
주휴수당이 빠져 있었어요.
몰랐던 저도 문제지만,
사장님은 알려주지도, 챙겨주지도 않았던 거죠.
오늘은 그런 억울함 없도록
‘주휴수당 계산법’과 안 줄 때 대처법까지
한 번에 싹 정리해 드릴게요.
1. 주휴수당이 뭔가요?
✅ 일주일 근무 기준을 채운 사람에게,
쉬는 날 하루치 임금을 유급으로 더 주는 제도입니다.
쉽게 말해,
“일주일 열심히 일했으니 하루는 쉬어도 돈은 드릴게요!”라는 법적인 보장입니다.
📌 정규직이나 계약직도 포함되지만, 월급에 이미 들어가 있어서 따로 보이진 않아요.
🔸그래서 보통은 알바생들이 계산해서 챙기게 되죠.
→ 하루 4시간, 주 5일 일하면 총 20시간 → 조건 충족
→ 하루 3시간, 주 4일이면 12시간 → 조건 미달
2. 주휴수당계산법
✅ 주휴수당계산 어떻게 하나요?
(주 근로시간 ÷ 일수) × 시급 = 주휴수당
예시)
• 시급: 10,030원 (2025년 최저임금)
• 주 5일, 하루 4시간 근무 → 총 20시간
👉 (20 ÷ 5) × 10,030 = 40,120원
📌 정규직·계약직은?
월급 안에 이미 포함되어 있지만 근로계약서나 명세서에
주휴 관련 항목이 명시되어 있어야 합니다.
3. 안 주면 어떻게 하나요?
1️⃣ 먼저, 정중하게 “주휴수당 지급 여부”를 물어보세요
🔸"제가 주 5일 20시간 근무했는데, 주휴수당이 지급된 건지 확인 가능할까요?"
🔸대놓고 따지듯이 말하면 감정싸움이 되기 쉬워요.
🔸먼저 권리로서 주휴수당을 알고 있다는 걸 인식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.
2️⃣ 급여명세서를 요청하세요 (의무입니다!)
🔸2021년 11월부터는 근로기준법상 의무
🔸급여명세서를 보면 아래 항목이 나와야 합니다.
📌 주휴수당이 누락돼 있다면, 법적으로 정당한 항의 근거가 됩니다.
3️⃣ 그래도 지급하지 않으면? ‘고용노동부’에 진정 제기!
🔸고용노동부 홈페이지
🔸가까운 고용노동지청 방문
🔸“임금체불 진정서” 제출하면 조사에 들어갑니다.
📊 필요한 증거:
⓵ 근로계약서
⓶ 출퇴근 내역
⓷ 급여 입금 기록
⓸ 카톡·문자 대화
📌 증거가 많을수록 처리 속도도 빠르고, 사업주가 변명하기 어렵습니다.
4️⃣진정 후 어떻게 되나요?
🔸고용노동부가 사업주에게 사실 확인 및 시정 명령
🔸소급 적용돼서 미지급된 주휴수당 전액 지급 명령
🔸사업주가 이를 거부하면 과태료 부과 + 형사처벌 가능성도 있음
4. 포함됐다고 하면요?
✅ “주휴수당 포함”이라는 말, 무조건 믿지 마세요
많은 사장님이 이렇게 말합니다:
“우리 시급은 주휴 포함이에요.”
“이게 원래 통상 시급보다 높잖아요? 그 안에 다 들어있어요.”
“주휴수당 따로는 없어요.”
🔸이건 법적으로 매우 위험한 발언입니다.
🔸왜냐하면, ‘포함했다’고 주장하려면 두 가지를 반드시 족해야 하거든요.
📊 주휴수당 포함 시급의 합법적인 조건
📌 예시로 계산해 볼게요
• 2025년 최저임금: 10,030원
• 주 5일 × 하루 4시간 = 주 20시간
• 주휴수당 = 하루치(4시간) × 시급 = 40,120원
• 주 20시간 + 주휴 4시간 → 총 24시간분 임금이 나가야 함
📌 이걸 다시 시급으로 환산하면:
(10,030원 × 24시간) ÷ 20시간 = 12,036원
👉 즉, 주휴수당 포함 시급이라면 최소 12,036원이어야 합법입니다!
만약 사장님이 “10,000원이 주휴 포함 시급”이라고 하면?
명백한 불법입니다.
5. 결론
✅ 마무리 정리
• 근로계약서는 꼭 사본이라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.
• 사장님이 “주휴수당 안 줘도 된다”는 말은 법적으로 무효예요.
• 체불된 금액은 3년 내에 진정해서 지급받을 수 있으니
가능하면 늦지 않게 신청하세요.
🔎 알바생이 꼭 알아야 할 팁
• 주휴수당 계산기: 고용노동부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
• 계약 전 조건 확인: “주휴 포함” 말 들리면 반드시 시급 체크
• 기록 남기기: 출근·퇴근 시간 스스로 기록하세요
📌 결론/ 한 줄 요약
주휴수당은 사장님 재량이 아니라 법으로 보장된 권리입니다.
몰랐다면 오늘부터라도 정확히 계산하고 당당하게 요구하세요.
'비즈니스, 경제 > 실업급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차발생기준 언제부터 생기나요? 알바도 연차 생기나요? (4) | 2025.07.21 |
---|---|
실업급여 조건 이 3가지만 되면 무조건 받을 수 있어요! (2) | 2025.07.15 |
연차수당, 안 주면 불법입니다. 직접 받아본 현실적인 계산법! (2) | 2025.07.11 |
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이 맞아야 퇴사 후에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. (4) | 2025.07.07 |
조기재취업수당 실업급여받고 취업했나요? 150만원 받으세요! (2) | 2025.06.16 |